언론보도

[중앙일보] “툰베리가 한국인이면 사이비 된다, 기후위기 외친 청년 좌절”

2020년 9월 13일 기후변화청년단체 GEYK을 대표하여 김지윤 공동대표, 이지우 운영위원, 우진택 멤버는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가졌습니다. 기후변화 활동을 하면서 느낀 점을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다음을 확인해주세요. [더 자세히 알아보기]:  “툰베리가 한국인이면 사이비 된다, 기후위기 외친 청년 좌절”/ “스웨덴 툰베리 한국 오면 넌 운동권이냐 소리 들을 것”  

[파이넨셜 뉴스] “서울시 토론회 개최, ‘코로나 시대 시민행동 방향'”

2020년 9월 10일 녹색서울시민위원회는 ‘코로나19과 환경위기’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하였습니다. 녹색서울시민위원회 기후에너지분과에 참여중인 김세진 위원(GEYK 자문)도 참여하였는데요, 자세한 사항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히 알아보기]: “서울시 토론회 개최, ‘코로나 시대 시민행동 방향’”

[이데일리] “기후변화센터,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라운드 테이블 개최”

2020년 9월 7일은 ‘제1회 푸른하늘의 날’이었습니다. 기후변화센터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하는 ‘푸른하늘과 2050 순배출 제로 캠페인 라운드 테이블’ 을 개최하였습니다. 청년단체를 대표하여 조규리 공동대표가 참여하여 청년의 시각에서의 2050 순배출 제로(탄소중립)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더 자세히 알아보기]: “기후변화센터,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라운드 테이블 개최”

[오마이뉴스] “‘푸른 하늘의 날’ 지정한 한국, 탈석탄부터 하라”

2020년 9월 7일은 한국정부가 제안한 첫 유엔 공식 기념일인 ‘푸른 하늘의 날’이었습니다. 당일 전국 15개 환경단체들은 ‘Korea Beyond Coal (석탄을 넘어서)’ 캠페인 출범식을 진행했습니다. ‘푸른 하늘의 날’은 “대기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하는 한편 오염 저감과 청정대기를 위한 노력과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자는 취지”로 지정되었습니다. 한편 정부는 신규 석탄발전 사업을 진행하며, 석탄 금융 조달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

[오마이뉴스] “‘푸른 하늘의 날’ 지정한 한국, 탈석탄부터 하라” 더 보기 »

[국회보 2020년 9월호] 청년에게 듣는다_내일의 나는 잘 살 수 있을까?

김지윤 공동대표는 지난 9월 1일 국회보에 ‘청년에게 듣는다_내일의 나는 잘 살 수 있을까?’라는 글을 기고했습니다. 기후변화는 점차 예측불가능해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청년들의 생각은 어떨까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히 알아보기]: ‘청년에게 듣는다_내일의 나는 잘 살 수 있을까?’  

[환경일보] 청년들이 말하는 ‘After COP25’

2020년 1월 11일에 진행한 ‘AfterCOP25 청년토크쇼 (부제: 기후변화 협상장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에 대한 후속 기사가 나왔습니다. 행사의 주요 내용과 현장 분위기를 가득 담은 기사이니 자세한 사항은 다음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환경일보] 청년들이 말하는 ‘After COP25’  

[시사포커스] “아직도 석탄에 투자하세요?” …

2019년 9월 22일에 시사포커스에서 발행된 기사로, 9월 28일 진행되었던 ‘재생에너지 맛집’ 토크 콘서트와 관련된 기사입니다. [시사포커스] “아직도 석탄에 투자하세요?” 28일 ‘재생에너지 맛집’ 청년 토크 콘서트 열린다

[한국일보] 삶의 기준을 바꾸는 ‘청년 개척자’들

2019년 10월 31일 삶의 기준을 바꾸는 ‘청년 개척자’들이라는 제목으로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와 GEYK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김지윤 부회장과 양예빈 멤버의 인터뷰 기사가 발행되었습니다. 이들의 솔직한 생각을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세요. [한국일보] 서울의 툰베리들 “착해서 환경운동? 내 삶을 지키는 것뿐” “환경 운동을 한다고 하면 ‘너 되게 착하다’, ‘좋은 사람이구나’라는 반응인데 가장 듣고 싶지 않은 말이기도 해요. 저는 제 …

[한국일보] 삶의 기준을 바꾸는 ‘청년 개척자’들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