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ppm은 2020 총선기상청이라는 의미로 2020년 2월 18일에 결성되었습니다. 415ppm은 2020년 4월 15일 총선을 대비하여 주요 정당의 기후위기 공약을 온라인으로 제공하기 위해 모인 단체로 GEYK을 비롯한 여러 청년단체들이 모여있습니다. ‘투표가 기후를 살린다’ 즉, Vote for Climate이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415ppm은 크게 두가지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산화탄소가 415ppm을 넘어서서는 안된다는 의미가 첫번째입니다. 4월 15일 총선에 나온 후보들에게 적극적인 기후위기 공약과 이행을 약속한다(Promise of Policy Maker)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415ppm은 기후위기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후위기 공약을 한데 모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가 부재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습니다. 415ppm은 유권자들에게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공약으로 낸 후보들을 한 눈에 보여주고, 이들에게 투표하는 행위인 ‘기후투표’를 독려하였습니다.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이 발간한 1.5도 특별보고서에 의하면, 산업화 기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1.5도 이내로 막지 못한다면 엄청난 재앙이 들이닥친다고 합니다. 해수면 상승, 홍수, 가뭄등의 극단적인 재난 재해로 인한 피해 증가, 식량 부족, 물 부족 등 기후변화는 경제를 비롯한 사회의 전반적인 분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하지만, 벌써 산업화 대비 0.8도의 지구 평균기온이 상승하였으며, 앞으로 1.5도 상승까지는 8년이 채 남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기후위기 대응에 관심없는 후보를 국회의원으로 뽑게 된다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요? 국회의원의 임기는 4년입니다. 8년 중 4년 동안 국회의원이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적이지 않다면, 우리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총선이 끝난 지금, 415ppm은 지속적으로 국회의원들이 기후공약을 잘 이행하는지 모니터링하려 합니다. 415ppm이 개설한 사이트와 이들의 활동은 다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